크로스바 접점 (Micro profiles)
릴레이・스위치의 소형화를 저비용으로 실현합니다.
독자적인 정밀 용접 기술을 활용해 미소 전류에서 수 암페어까지의 폭넓은 부하에 대응하는 이종 금속 다층 접점을 실현합니다.
Micro profiles 이란?
전자 기기의 신호 제어 부품인 릴레이 및 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초소형 접점입니다. 릴레이는 외부에서 전기 신호를 받아 전기 회로 개폐 및 전환을 하는 부품으로 통신 기기, 설비 기기, 가전제품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.
다나까귀금속의 Micro profiles
■특징
- 이종 금속의 다층 접합이 가능
- 전체 길이에 걸쳐 우수한 접합 강도를 가진 테이프 형상의 접점
- 접점 사이즈의 소형화가 가능
- 접점 형상, 접점 재질의 선택지가 많고 각층의 두께도 변경 가능
- 표면의 금(Au)층은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공법 선택 가능(클래드 또는 스퍼터)
- 카드뮴 프리 은 산화물의 다층 인장도 가능 (접점 재료는
전기 접점 재료
참조)
스퍼터 공법
- Au층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내점착성이 향상
- Au층이 외주에 형성되기 때문에 내환경성(산화, 황화)이 향상
클래드 공법
- Au 층의 경도가 낮고 접촉 저항이 안정되기 쉽다.
Micro profiles을 응용한 톱레이 접점
스프링재, 단자용재에 크로스바 접점을 연속 용접
제공형태(표준릴)
접합 예
용도에 맞춘 폭넓은 접점 재질의 선택, 다양한 접점 형상으로의 대응이 가능합니다.
재질, 형상, 치수에 관해서는 상담해 주십시오.
■용도
차량용 릴레이・스위치, 가전용 릴레이・스위치, 산업 기기용 릴레 이・스위치, 마그넷 스위치, 브레이커 그 외
극소형 크로스바 접점(Micro profiles)
5세대 신호 릴레이용 차세대 접점
시그널 릴레이용 테이프 접점에서 최소 사이즈가 되는 0.2mm 폭을 달성하였습니다. 극소형 접점을 사용함으로써 접점 자체가 경량화되어 접점 개폐 시의 바운스 및 채터링 제어가 기대됩니다.
■특징
- 요구에 맞추어 Au층의 클래드, 스퍼터의 선택이 가능
- 접점 자체의 소형화・경량화에 의해, 접점의 가중치에 의해 개폐시에 발생하는 바운스를 억제
- 보다 정밀한 전기 신호를 제어할 수 있어서 디바이스의 오작동 등을 경감
- 접점의 소형화에 의해 소비 전력화, 자원 절약화에 의한 저비용화에 기대
- 릴레이의 소형화에 공헌해, 실장 면적 삭감을 기대할 수 있다
■신호 릴레이용 접점 소형화의 역사 ※다나까귀금속 조사자료
릴레이는 1830년대 실용화 이후 다양한 전자 기기에 내장되었습니다. 전자 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신호 릴레이 및 접점 연구 개발이 진행되어 릴레이와 그 안에 내장되는 접점의 소형화도 진행되었습니다.
다나까귀금속는 1970년대부터 신호 릴레이용 접점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 1998년에는 4세대 신호 릴레이용 접점(테이프 폭 0.3mm), 2023년에는 5세대 신호 릴레이용 접점(테이프 폭 0.25mm) 개발에 성공했습니다. 5세대 신호 릴레이는 통신 기기, 반도체 검사 장치, 의료기기, 네트워크 카메라, 스마트 가전, 자동차 등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.